티스토리 뷰

 

1) 데이터 모델의 이해
문제 해설
모델링의 세 가지 관점 ☆ Data          (What)
☆ Process     (How)
☆ Ineractrion
데이터 모델이 제공하는 기능 ☆ 문서화 / 가시화 / 명세화 /  구조화된 틀 제공 /  다양한 관점 제공

 

2) 엔터티 (Entity)
문제 해설
엔터티명과 속성의 구분 기준 ☆ 찾아보아야 함.
엔터티의 명명 기준 ☆ 가능하면 현업업무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사용한다.
☆ 빈번하게 데이터가 발생될 것으로 예측되는 엔터티더라도 단수명사를 사용한다.
☆ 엔터티의 이름은 해당 업무 내에서 유일해야 한다.
☆ 엔터티 생성 의미대로 이름을 부여한다.

 

3) 속성 (Attribute)
문제 해설
엔터티, 인스턴스, 속성, 속성값에
대한 설명
☆ 한 개의 엔터티는 두 개 이상의 인스턴스의 집합이어야 한다.
☆ 한 개의 엔터티는 두 개 이상의 속성을 갖는다.
한 개의 속성은 한 개의 속성값을 갖는다.
엔터티 구성방식에 따른 속성의 분류 ★ 일반속성 / FK속성 / PK속성
엔터티 특성에 따른 속성의 분류 ★ 기본속성 / 설계속성 / 파생속성
도메인 ☆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를 뜻한다.
☆ 예를 들어 고객 엔터티의 성별코드 속성은 'S1'(남) 혹은 'S2'(여)로만 존재하여야 한다.

 

4) 관계 (Relationship)
문제 해설
관계차수의 종류 ☆ 1:1관계 / 1:M관계 / M:M관계
★ M:1관계는 불가능.
관계 체크사항 ☆ 두 개의 엔터티 사이에 관심있는 연관규칙이 존재하는가?
☆ 두 개의 엔터티 사이에 정보의 조합이 발생하는가?
☆ 업무기술서, 장표에 관계 연결에 대한 규칙이 서술되어 있는가?
☆ 업무기술서, 장표에 관계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동사가 있는가?

 

5) 식별자
문제 해설
주식별자의 특성 ☆ 유일성 :  주식별자에 의해 엔터티 내에 모든 인스턴스들이 유일하게 구분되어야 한다.
☆ 최소성 :  주식별자를 구성하는 속성의 수는 최소의 수가 되어야 한다.
☆ 불변성:  주식별자가 한 번 특정 엔터티에 지정되는 그 식별자의 값은 변하지 않아야 한다.
☆ 존재성 :  주식별자가 지정되면 반드시 데이터값이 존재해야 한다.

 

6) 정규화
문제 해설
함수적 종속성 ☆ X → Y 이면, Y는 X에 종속된다.
제1정규화 ☆ 기본키 X를 잡는 것.
제2정규화 ★ 부분함수 종속성 : 단 하나의 속성에만 해당되는 경우
☆ 부분함수 종속성을 분해하여 제거하는 것.
제3정규화 ★ 이행함수 종속성 : 속성끼리 종속성이 발생하는 것.
☆ 이행함수 종속성을 분해하여 제거하는 것.
☆ 새로운 기본키가 생성됨
정규화의 효과 ★ 높은 응집도 & 낮은 결합도 원칙에 충실해진다.
★ 유연성이 극대화 된다.

 

 
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TAG
more
«   2025/08   »
1 2
3 4 5 6 7 8 9
10 11 12 13 14 15 16
17 18 19 20 21 22 23
24 25 26 27 28 29 30
31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