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1) 데이터 모델의 이해 | |
문제 | 해설 |
모델링의 세 가지 관점 | ☆ Data (What) ☆ Process (How) ☆ Ineractrion |
데이터 모델이 제공하는 기능 | ☆ 문서화 / 가시화 / 명세화 / 구조화된 틀 제공 / 다양한 관점 제공 |
2) 엔터티 (Entity) | |
문제 | 해설 |
엔터티명과 속성의 구분 기준 | ☆ 찾아보아야 함. |
엔터티의 명명 기준 | ☆ 가능하면 현업업무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사용한다. ☆ 빈번하게 데이터가 발생될 것으로 예측되는 엔터티더라도 단수명사를 사용한다. ☆ 엔터티의 이름은 해당 업무 내에서 유일해야 한다. ☆ 엔터티 생성 의미대로 이름을 부여한다. |
3) 속성 (Attribute) | |
문제 | 해설 |
엔터티, 인스턴스, 속성, 속성값에 대한 설명 |
☆ 한 개의 엔터티는 두 개 이상의 인스턴스의 집합이어야 한다. ☆ 한 개의 엔터티는 두 개 이상의 속성을 갖는다. ☆ 한 개의 속성은 한 개의 속성값을 갖는다. |
엔터티 구성방식에 따른 속성의 분류 | ★ 일반속성 / FK속성 / PK속성 |
엔터티 특성에 따른 속성의 분류 | ★ 기본속성 / 설계속성 / 파생속성 |
도메인 | ☆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를 뜻한다. ☆ 예를 들어 고객 엔터티의 성별코드 속성은 'S1'(남) 혹은 'S2'(여)로만 존재하여야 한다. |
4) 관계 (Relationship) | |
문제 | 해설 |
관계차수의 종류 | ☆ 1:1관계 / 1:M관계 / M:M관계 ★ M:1관계는 불가능. |
관계 체크사항 | ☆ 두 개의 엔터티 사이에 관심있는 연관규칙이 존재하는가? ☆ 두 개의 엔터티 사이에 정보의 조합이 발생하는가? ☆ 업무기술서, 장표에 관계 연결에 대한 규칙이 서술되어 있는가? ☆ 업무기술서, 장표에 관계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동사가 있는가? |
5) 식별자 | |
문제 | 해설 |
주식별자의 특성 | ☆ 유일성 : 주식별자에 의해 엔터티 내에 모든 인스턴스들이 유일하게 구분되어야 한다. ☆ 최소성 : 주식별자를 구성하는 속성의 수는 최소의 수가 되어야 한다. ☆ 불변성: 주식별자가 한 번 특정 엔터티에 지정되는 그 식별자의 값은 변하지 않아야 한다. ☆ 존재성 : 주식별자가 지정되면 반드시 데이터값이 존재해야 한다. |
6) 정규화 | |
문제 | 해설 |
함수적 종속성 | ☆ X → Y 이면, Y는 X에 종속된다. |
제1정규화 | ☆ 기본키 X를 잡는 것. |
제2정규화 | ★ 부분함수 종속성 : 단 하나의 속성에만 해당되는 경우 ☆ 부분함수 종속성을 분해하여 제거하는 것. |
제3정규화 | ★ 이행함수 종속성 : 속성끼리 종속성이 발생하는 것. ☆ 이행함수 종속성을 분해하여 제거하는 것. ☆ 새로운 기본키가 생성됨 |
정규화의 효과 | ★ 높은 응집도 & 낮은 결합도 원칙에 충실해진다. ★ 유연성이 극대화 된다. |
'TIL & WIL > SQ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QLD 오답노트 (3) SQL 활용 (0) | 2023.03.17 |
---|---|
SQLD 오답노트 (2) SQL 기본 (0) | 2023.03.16 |
SQL 7일차. 서브쿼리 익숙해지기 (0) | 2023.02.10 |
SQL 6일차. 탐색함수 (0) | 2023.02.03 |
SQL 6일차. ROLLUP / WINDOW(RANK, DENSE_RANK, ROW_NUMBER) (0) | 2023.02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