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Python을 배우는 이유?

-컴퓨터의 CPU, RAM, SSD(HDD) 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프로그래밍을 함.

-프로그램 언어의 종류에는 컴파일러 언어와 인터프리터 언어가 있음.

 

1. 컴파일러 언어

  : 코드를 실행하기 위해 컴파일 시간이 필요한 언어로 JAVA 등이 이에 속함. 속도가 빠름.

2. 인터프리터 언어

  : 컴파일 시간이 따로 필요 없으나, 속도가 느리고 문법이 쉬움. Python, java script 등이 이에 속함.

 

 


 

 

변수 선언

  • RAM에 저장공간을 만들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문법
  • 식별자 : 저장공간을 구별해주는 문자열

 

* 식별자의 규칙

 1. 문법 : 틀리면 에러 발생 → 코드 실행 불가

  • 사용 가능한 문자 : 대소문자 알파벳, 숫자, _
  • 가장 앞에는 숫자가 올 수 없음.    ex) data_1(가능)  1_data(불가능)
  • 명령어(예약어) 사용 불가능.    ex) def, if, for (불가능)   print(가능)

2. 컨벤션 : 틀려도 코드 실행은 됨  → 보기에 좋지 않음.

  • 변수 : 소문자로 작성(snake_case)
  • 상수 : 대문자로 작성

 

* 변수 선언하기

1) 식별자 1개, 데이터 1개     data1 = 1
2) 식별자 n개, 데이터 n개     data2, data3 = 2, 3
3) 식별자 n개, 데이터 1개     data4 = data5 = 4
4) 식별자 1개, 데이터 n개     컬렉션 데이터 타입

 

 

 

 


 

 

데이터 타입

  • RAM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문법
  • 기본 데이터 타입과 컬렉션 데이터 타입이 있음.
  기본 데이터 타입 컬렉션 데이터 타입
종류 int, float, bool, str list, tuple, dict, set

* type( ) : 식별자의 데이터 타입을 출력해줌.

 

 

 

 

* 기본 데이터 타입

  1. int (*정수)
  2. float (*실수)
  3. bool (*논리값 : True / False)
  4. str (*문자열)

=> 동적 타이핑 : 변수 선언 시 데이터 타입을 지정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데이터 타입이 지정됨. (인터프리터 언어만)

    - 인터프리터 언어 : data1 = 10

    - 컴파일러 언어     : int data1 = 10

 

 

 

 

* 컬렉션 데이터 타입

  1. list[ ]
  2. tuple( )
  3. dict{ }
  4. set( )
  list[ ] tuple( ) dict{ } set( )
순서 O
(read 가능)
O
(read 가능)
X
(key를 활용하여 read 가능)
X
수정가능성 O
(update, delete)
X O
(update, delete)
X
중복값 허용 O O O X

 

 

 

 

※ 컬렉션 데이터 타입의 CRUD

더보기

 

  • Creat
list[ ] tuple( ) dict{ } set( )
  • Read  (masking)    ( 형식 : data[ ] )

-read 가능한 데이터 타입 : list, tuple, dict, str

종류 예시 출력 사용 가능한 타입
[idx]     data1 = [1,2,3,4]
    data1[2]
3     list, tuple, str
    data2 = 'wedding anniversary'
    data2[3]
d
[key]     data3 = { 'one' : 1, 'two' : 2, 'three' : 3}
    data3['one']
1     dict
[start:end]     data4 = [1,2,3,4,5,6,7]
    data4[0:3]
    data4[:]

         [1,2,3]
         [1,2,3,4,5,6,7]
    list, tuple, str
    data2 = 'wedding anniversary'
    data2[11:14] 
'ive'
[start:end:
stride]
    data2 = 'wedding anniversary'
    data2[0:14:3] 
'wdgnv'     list, tuple, str

 

 

  • Update

-update 가능한 데이터 타입 : list, dict

  예시 출력
list     data1 = [1,2,3,4]
    data1[3] = 'four'
    data1
    [1, 2, 3, 'four']
dict     data3 = { 'one' : 1, 'two' : 2, 'three' : 3}
    data3['one'] = '일'
    data3
   {'one': '일', 'two': 2, 'three': 3}

 

 

  • Delete

-delete 가능한 데이터 타입 : list, dict

  예시 출력
list     data1 = [1,2,3,4]
    del data1[1:2]
    data1
    [1, 4]
dict     data3 = { 'one' : 1, 'two' : 2, 'three' : 3}
    del data3['one']
    data3
   {'two': 2, 'three': 3}

 

 

 

 


 

 

변수의 속성값을 출력하는 함수

  • print( )  : 변수의 데이터값 출력
  • type( )  : 변수의 데이터 타입 출력
  • sys.getsizeof( )  : 변수의 데이터 크기 출력
  • id( )  : 변수의 주소값 출력

 

* 얕은 복사와 깊은 복사

  1. 얕은 복사 
예시 출력 해석
    data1 = [1,2,3]
    data2 = data1
    print(data1, data2)
    data1[1] = 3
    print(data1, data2)


    [1, 2, 3] [1, 2, 3]

    [1, 3, 3] [1, 3, 3]
    식별자의 주소값을 복사하여 같은 내용물을 갖게 됨.
   따라서 한 식별자의 값을 바꾸면 같은 주소값을 가진 
   식별자의 값도 같이 변하게 됨.

    2. 깊은 복사

예시 출력 해석
    data1 = [1,2,3]
    data3 = data1.copy( )
    print(data1, data3)
    data1[1] = 3
    print(data1, data3)


    [1, 2, 3] [1, 2, 3]

    [1, 3, 3] [1, 2, 3]
    식별자의 데이터를 복사하여 내용물은 같지만
   다른 주소값을 갖게  됨. 따라서 식별자의 값을 바꿔도
  다른 식별자의 값에 영향을 끼치지 않음.

 

 

 


 

오늘의 후기 : 배웠던 내용을 복습 + 심화하는 느낌이었어서 재미있게 강의를 듣고 쉽게 이해함.
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TAG
more
«   2025/08   »
1 2
3 4 5 6 7 8 9
10 11 12 13 14 15 16
17 18 19 20 21 22 23
24 25 26 27 28 29 30
31
글 보관함